원인
동결견은 전체 인구의 약 2%에서 유발되는 흔한 질환의 하나로, 코드만(Codman, 1934)이 처음 “동결견(frozen shoulder)”이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그 당시 이 질환 자체가 정의 내리기도 힘들고 치료하기도 힘들며 그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기 힘들다고 기술한 바 있다. 그 후 Neviasier(1949)가 이를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이라 기술하였으나 현재까지도 그 기전이나 치료에 대하여 명확한 답변을 얻기가 힘든 질환이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동결견을 하나의 병명이라기보다는 증상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여기에서 뚜렷한 병인이 있는 이차적 동결견은 제외하여야 한다고 한다.
특발성 유착성 관절낭염이란 특별한 원인없이 통증이 수반된 수동 및 능동 운동 장애를 가져오는 질환이라 할 수 있다. 특발성 동결견의 병인을 여러 각도에서 연구하고 있으나 아직도 하나의 정립된 원인을 찾기는 힘들다. 동결견 또는 유착성 관절낭염은 크게 원인에 따라 내인성과 외인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다른 방법으로 분류하면 하나는 특발성과 이차성으로, 전신 질환이 있거나 어깨 자체의 질환으로 인해 견관절의 경직이 생기는 것이고, 그 외 경추 주위의 병변으로 인해 올 수 있는 어깨 강직, 골절, 탈구 등의 외상성과, 수술 후 합병증으로 인해 오게 되는 견관절 강직은 별도로 구별된다. 특발성은 주로 견관절낭의 경축(근육 및 건의 수축에 의해 팔다리 운동이 제한된 상태)이 문제이고 이차성 중 외상성과 수술 후 강직은 그 부위와는 다른 곳이 문제가 된다.
N 의학정보( 오십견 [frozen shoulder] ) | 서울대학교병원
증상
50대에 많이 생긴다고 해서 오십견이라고 부르는데요. 오십견은 유착성 관절낭염이며 어깨를 둘러싸고 잇는 관절낭 자체가 타이트해지면서 어깨가 쉽게 움직여지지 않는 것입니다.
오십견의 특징으로는 만성통증이나 관절의 가동범위에 제한이 생기는 것인데요. 50대뿌난 아니라 어깨에 생긴 염증을 방치하면 20대나 30대에도 생길 수 있으며 30-70대에는 회전근개 파열로 인한 2차적 발생이 많다고 합니다.
오십견 단계의 분류 |
1단계 동통기(통증이 심한 시기) 초기에는 어깨가 굳어가는 시기로 통증과 경직이 서서히 심해지고 3-6개월에 걸쳐 발생합니다. |
2단계 동결기(어깨가 굳는 시기) 어깨가 굳어가면 통증은 서서히 감소하지만 경직이 더욱 심해지는 시기로 4-12개월 사이의 단계입니다. |
3단계 해동기(통증이 심한 시기) 어깨의 강직이 점점 풀리며 통증이 감소하고 대부분 자연적인 회복이 가능합니다. 보통 12-41개월 사이에 어깨 움직임이 정상적으로 돌아옵니다. |
재활운동방법
통증이 심하지 않은 시기의 오십견(유착성관절낭염)을 가지고 있을 경우 재활 운동으로 움직임을
회복 시켜 주도록 합니다
-한쪽팔을 반대쪽 어깨에올립니다.
-팔꿈치를 위아래로 움직여줍니다
-횟수는 10번 x3 번 정도 해줍니다.
(어깨는 으쓱이지 않습니다)
-양다리는 골반넓이만큼 벌려줍니다
-척추는 곧게 펴낸채로 손바닥을 앞에 짚습니다.
-흉추를 길게 늘려주면서 어깨 앞면도 같이 늘려줍니다
(10초 유지 3번 반복해줍니다.)
-몸의 정렬을 앞쪽을 향한채로 시행합니다
-한쪽팔을 어깨높이보다 한뼘위로 손바닥을 댑니다(유착성 관절낭염이 있는부위)
-고개를 숙이거나 몸을 숙여줍니다
-겨드랑이 앞쪽이 길게 늘어나는 것을 느낍니다
(10초 3번정도 진행해줍니다)
-세라밴드로 운동으로 저항 강도가 약한것부터 시행해줍니다
-한쪽팔은 머리뒤 쪽으로(건강한팔), 반대쪽팔은 뒷짐 동작을 해줍니다(유착성 관절낭염 있는 부위)
-유착성관절낭염이 있는 쪽은 가만히 있고, 왼쪽팔은 천장쪽으로 당겨 줍니다.
(10회 3번시행해 줍니다)
-양팔을 뒷짐지고, 안아픈 팔쪽을 아픈팔쪽이 머리쪽으로 올라갈수 있게 밀어줍니다.
(10회 3번시행해 줍니다)
'어깨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상적인 X-ray 어깨관절]의 위치만 알고 있어도 통증이 개선될수 있습니다 (34) | 2024.12.15 |
---|---|
[회전근개 파열에 대해 알아봅시다] (14) | 2024.12.03 |